본문 바로가기

코딩/파이썬28

파이썬 - 세트 1. 세트 세트(set)는 중복되지 않는 요소들을 저장하는 컬렉션이다. 중복 되는 자료가 많을경우 set 에 넣어서 중복된 자료를 편하게 정리 할수 있다. 1-1. 세트(set)는 중괄호{} 를 사용하거나 set() 으로 만든다 s1 = {} print(s1) print(type(s1)) 결과: {} s1 = {1, 3, 5, 7} print(s1) print(type(s1)) 결과: {1, 3, 5, 7} 요소를 넣어야 set 타입이 된다 s2 = set([1, 3, 5, 7]) print(s2) print(type(s2)) 결과: {1, 3, 5, 7} li1 = [1, 2, 3, 4] s2 = set(li1) print(s2) print(type(s2)) 결과: {1, 2, 3, 4} s3 = {1.. 2024. 3. 14.
파이썬 - 튜플 1. 튜플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, 변경 불가능(immutable)한 순서가 있는 컬렉션이다. 한번 들어간 요소는 변경이 불가능하다. 튜플은 소괄호() 를 이용해서 사용한다. 1-1. 튜플의 사용 tu1 = (1,) # 요소가 1개일 경우 끝에 컴마를 붙여야함 print(tu1) print(type(tu1)) 결과: (1,) 요소가 1개일 경우 끝에 컴마를 붙여야 튜플이 된다. tu2 = (1, 3, 5, 7) print(tu2) print(type(tu2)) 결과: (1, 3, 5, 7) 값이 여러개 일경우 끝에 컴마를 붙이지 않아도 됨. tu3 = tuple([1, 3, 5, 7]) print(tu3) print(type(tu3)) 결과: (1, 3, 5, 7) 튜플 소괄호 안.. 2024. 3. 13.
파이썬 - 리스트 1. 컬렉션 타입 여러 개의 데이터 항목을 하나의 단위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 구조를 의미한다. 이것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고, 관리할 수 있게. 해준다 기본적인 컬렉션 타입에는 리스트, 튜플, 세트, 딕셔너리 등이 있다. 2.리스트 여러 값들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순차적인 자료구조다. 2-1. 리스트사용 li1 = [1, 3, 5, 7, 9] print(li1) print(type(li1)) 결과: [1, 3, 5, 7, 9] li2 = list([1, 3, 5, 7, 9,]) print(li2) print(type(li2)) 결과: [1, 3, 5, 7, 9] 위의 두가지 코드는 같은결과가 나온다. 둘의 결과가 같지만 아래의 코드는 다른 자료구조.. 2024. 3. 13.
파이썬의 변수 1. 변수 변수는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. 변수는 이름이 붙은 메모리 공간으로, 값을 저장하거나 참조할 때 사용된다. ※변수는 값이 변할수 있기 때문에 변수 라고 한다. 변수 선언: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해당 변수의 이름을 정하고, 그 이름을 사용해 변수를 선언한다. 값 할당: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등호(=)를 사용하여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. 값 참조: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거나 사용할 때는 해당 변수의 이름을 사용하여 값을 참조한다. 변수 타입 추론: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언어로,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파이썬은 할당된 값의 형태에 따라 변수의 타입을 추론한다. 2. 변수 이름 작성시 주의사항 파이썬 변.. 2024. 3. 12.